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171103-몽골 | 운영자 | 2017-11-03 | |||
|
|||||
11월 3일 24365기도는 몽골입니다. 아시아 지리 면적 1,565,000㎢. 북부에는 초원과 숲이 있고, 동부와 남부에는 3개의 주요 산맥과 큰 고비 사막이 있다. 극단적인 기후가 나타난다. 인구 2010년 2,701,117명 2020년 3,002,051명 수도 울란바토르 965,961명 도시화 57.5% 15세 이하 인구 26.0% 평균수명 66.2세 종족 몽골족 90.9%, 7개 방언. 할하족 67.0%, 칼미크-오이라트족 7.0%, 북 몽골족 5.0%, 두르베트족 2.9%, 부랴트족 2.7%. 투르크족 6 .6%. 카자흐족 5.3%, 극서 지역의 투바족 1.2%. 기타 2.5%. 중국인 1.5%. 문자해독률 97.8% 공용어 할하 몽 골어 전체 언어 15.0 토착어 13.0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4, 신 4 경제 전통적으로 목축업과 농업 중심 경제이지만 광업이 안정적인 외화 수입원이다. 가축업(특히 캐시미어)과 관광 무역이 성장하고 있다. 혹독한 겨울을 지내면서 많은 가축을 잃고 가난으로 내몰린 수천 명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했다. 구소련 의존 중심형 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변화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부자가 된 소수도 있지만 많은 사람이 이전보다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 해외 취업으로 수천 명의 대규모 이주자가 발생하고 있다. 인간개발지수 182개국 중 115위 공채 GDP의 4.24% 1인당 소득 1,975달러(미국의 4%) 정치 1206년 칭기즈칸이 국가를 통일하고 중국과 한국에서 중유럽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제국을 이루었다. 1368-1911년 외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1년에 중국과 만주의 지배에서 벗어나 자치구가 되었다. 1921년 러시아가 지원한 혁명으로 마르크스주의 혁명정부를 수립하였다. 1990년 다당제 민주주의가 도입되었다. 부패와 빈곤 퇴치를 실패하여 생겨난 저항이 현 정부를 괴롭히고 있다. 종교 몽골의 주요 종교는 라마 불교, 샤머니즘, 이슬람교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종교의 자유가 있다. 몽골 정부는 외국인 사역자를 약간 규제하고 기독교 사역을 방해하지만 아시아 지역에서는 개방된 나라에 속한다. 불교 35.30% 종족종교 32.40% 무종교 26.48% 이슬람교 4.10% 기독교 1.72% 기도응답 1. 1989년에는 기독교인이 4명뿐이었다. 2000년에는 8,000-10,000명으로 추정된다. 오늘날에는 몽골 전 지역에 4만 명이 넘는 신자와 수백 개의 교회와 단체, 모임이 있다. 2. 몽골 교회는 필요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 세대가 지나기도 전에 복음이 닿지 않은 몽골 지역과 그 너머 지역으로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으며, 본래 선교사가 시작한 지역 사역을 토착민이 직접 운영하고 있다. 또한 문화에 적합한 예배 규범도 개발하였다. 기도제목 1. 어려운 경제 상황은 정부가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며, 고용, 교육, 아동 복지 등 삶의 모든 영역에 깊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통적인 유목 목축업이 위협 받고 있다. “내부자 자본주의”(Insider capitalism)로 일부는 거대한 부를 누리지만 가난에 시달리는 사람이 더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이 단일 정부가 붕괴하는 원인이 되었다. 몽골 지도자들이 공평하고 지혜롭게 다스리도록 기도하자. 2. 몽골의 전통 종교인 라마 불교와 샤머니즘은 독립 이후 부활하여 증가하고 있다. 라마 불교가 수적으로 우세하지만 대부분 이 종교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 몽골인의 정신 깊숙한 곳에는 샤머니즘과 전통 무속 신앙, 심지어 주술 행위가 자리 잡고 있다. 많은 몽골인, 특히 젊은 세대가 건강과 재정, 관계의 문제에 도움을 받기 위해 무속인을 찾아가고 있다. 몽골인이 온전한 자유를 찾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면서 삶이 변화되도록 기도하자. 3. 몽골의 기독교는 근대에 들어서야 처음 나타났다. 지금은 수도에만 200개에 가까운 교회가 있다. 게다가 모든 지방 중심지마다 적은 신자일지라도 교회에 모임이 있다. 그러나 아직도 다음과 같은 기도 제목이 있다. 1) 많은 사람이 기독교에 관심이 있지만 그 이유는 복합적이다. 과거에는 선교사와 NGO에서 제공하는 고용 기회가 그들의 관심을 끌었다. 최근 교회를 찾은 일부 사람들은 다시 떠나버리거나 제자의 삶을 살려고 하지 않는다. 신자들이 효과적인 제자훈련을 받고 그리스도를 닮은 삶을 살도록 기도하자. 극소수의 대형 교회만 외국의 후원에서 자립한 상태다. 2) 기독교는 외래성을 벗어버려야 한다. 성경 중심적이면서 참된 몽골의 기독교가 되어야 한다. 많은 선교사가 타문화에 대해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상태로 들어온다. 성경적 진리가 몽골 문화에 더 알맞게 상황화되도록 기도하자. 3) 교회의 연령 불균형. 일반적으로 교회는 많은 청년과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년층은 극소수다. 특히 장년 남성이 적다. 어린이는 교회로 인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모든 연령대와 세대가 골고루 모일 수 있도록 기도하자. 4) 시골 교회는 재정이 부족하고, 교육과 자원 대부분이 모여 있는 수도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훈련과 자료가 매우 적다. 실질적인 유목 교회 개념도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5) 영적 연합의 필요. 몽골 복음주의 연맹(Mongolian Evangelical Alliance, MEA)은 모든 몽골 교회의 교제와 성장을 위해, 그리고 정부에 기독교인을 대변하는 연합체로 서기 위해 함께 모이기를 추구한다. 몽골 복음주의 연맹(MEA)의 비전과 지도력, 진정한 하나 됨을 위해 기도하자. 4. 몽골 교회 지도자 개발은 전략적 필요이자 교회를 강화하는 열쇠다. 좋은 교육이 이러한 개발에 중심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교회, 특히 지방 교회에 성경적으로 예리한 지도자와 교사가 절대로 필요하다. 몽골에는 주로 교파적 특성을 가진 8개 성경학교가 있다. 초교파적 몽골 연합 성서 신학대학(Union Bible Theological College)이 가장 크며, 교회 지도자를 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지역 교회와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성경 교육 센터가 있다. 넓은 영토와 교회의 빠른 성장이라는 상황에서 널리 퍼진 교회를 섬길 TEE 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몽골 교회에 매우 필요하다. 지도자의 올바른 모범과 높은 수준의 학문 연구에서 평신도를 위한 훈련까지 아우르는 적절한 지원체계가 성장하도록 기도하자. 5. 외국인 기독교 노동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부분 NGO 회원으로 구제와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선교사들은 몽골 교회가 전도와 제자훈련 사역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훈련을 돕고 섬기는 사역으로 전환하고 있다. 약 15개 서구 기반 단체의 네트워크인 기독교 협력 봉사단(Joint Christian Services)과 한국 단체의 상위 기관은 몽골 복음주의 연맹이나 다른 기독교 단체와 마찬가지로 사역을 조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역은 주로 울란바토르를 기반으로 하지만 점점 시골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일이 계속되도록 기도하자. 특히 단체들이 연합하고 장기적으로 헌신하며 진정으로 몽골 문화를 배우고 기꺼이 적응하려는 마음이 일어나도록 기도하자. 몽골인 지도자와 긴밀하고 겸손한 관계를 맺도록 기도하자. 또한 몽골이 꾸준히 개방되어 기독교 사역이 계속 들어갈 수 있도록 기도하자. 6. 경제적 어려움은 광범위한 사회 변동과 착취, 전통 가치의 붕괴를 초래했다. 범죄, 알코올 중독, 성매매가 팽배하고, 도시 노숙자 문제가 여전하다. 단체들은 대부분 보건, 구제, 교육, 문서 프로그램에 관여하고 있다. 이는 그리스도의 자비로운 사랑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다. 이를 통해 사람들과 신생 교회가 최대한 오랫동안 유익을 누리도록 기도하자. 7복음 전도가 미미한 대상. 1) 유목민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섬세하고 총체적인 사역으로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도록 기도하자. 2) 카자흐족은 주로 바얀-오르기 주의 극서 지방에 살고 있다. 대부분 무슬림이지만 기독교인도 소수 있다. 몇몇 기독교인이 그들을 대상으로 사역하고 있고, 이슬람교 선교사들은 이들을 다시 이슬람화하려 하고 있다. 3) 소수 종족. 중국인과 러시아인 공동체에 신자가 소수 있고 교회가 각 공동체에 적어도 1개는 세워져 있다. 칼미크족, 투바족, 에벤키족에게는 거의 복음을 전하지 않고 있다. 4) 대학생. CCCI, IFES, 한국 대학생 성경 읽기 선교회(UBF), 기타 다양한 학생 사역이 캠프와 세미나, 학생 제자훈련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사역을 통해 몽골인 지도자가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호기심으로 시작한 청년들을 성숙한 제자로 양육하기까지는 인내와 믿음이 필요하다. 8. 기독 지원 사역. 1) 성경 번역은 매우 중요하다. 하나의 대표 번역본으로 많은 교회가 사용하고 있으며 지금도 수정하고 있다. 2개의 다른 번역본도 있는데 하나는 종교 용어를 다르게 사용한다. 몽골어로 된 성경 사용이 증가하고, 하나님 말씀을 통해 성령께서 가르치시고 자라게 하시며 인도하시도록 기도하자. 읽지 못하는 사람들은 점자 성경과 오디오 성경을 사용한다. 2) 영화 <예수>는 대부분의 토착 언어로 시청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과 영화를 통해 전국적으로 상영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영화에 감동한다. 3) 몽골 복음주의 연맹(MAF)은 푸른 하늘 항공 선교회(Blue Sky Aviation)로 항공 사역을 하고 있다. 이는 몽골의 넓은 영토에서 전도하고 훈련하며 인도주의적 사역을 하는 데 전략적이고 중요한 사업이다. 4) 기독교 라디오와 텔레비전. FEBC는 수도에서 기독교 라디오 방송국을 운영한다. 윈드 FM(Wind FM)은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시골 지역까지 전파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뉴스, 음악, 기독교 교육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있다. 기독교인 소유 지상파 방송국인 독수리 TV(Eagle TV)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뉴스와 함께 드라마, 교육, 간증을 통해 복음을 나누는 기독교 프로그램을 방영한다. |
댓글 0